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not working
- 설치
- php 시큐어코딩
- Android
- 우분투
- 안드로이드 푸시
- UML
- html5
- C#
- javascript
- C# IO
- mysql
- Mail Server
- WebView
- 자바스크립트
- roundcube
- php 취약점
- curl
- 자동 생성
- xe
- FCM
- soundpool
- chart.js
- 안드로이드 푸쉬
- 안드로이드
- android 효과음
- 안드로이드 gcm
- 폼메일
- PHP
- dovecot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96)
그러냐
대용량 파일 전송 설정하기 개인 서버로써 제대로된 역할을 하려면 웹서버도 중요하지만 파일서버의 역할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즉, 나만의 저장 공간 클라우드가 있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 있습니다. 대용량 파일 전송이 가능할 것. 호스팅 업체에서는 업로드 파일 용량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00MB로 되어있으며 각 호스팅사 마다 차이는 있지만 서버에 대한 부하로 인해 대부분 500MB 이내의 선에서 업로드 용량을 제한합니다. 개인 서버를 구축하고 사용하는 제일 큰 이유가 뭐겠어요. 바로 대용량 파일을 저장해 놓고 언제 어디서나 다운 받고 스트리밍 할 수 있을 것이 가장 큰 목적이 아닐까 합니다. 기본적으로 IIS에서 최대로 업로드할 수 있는 파일 크기는 30MB입니다. (조금더 정확하게는 3..
검색하면 public void CopyFolder(string sourceFolder, string destFolder) { if (!Directory.Exists(destFolder)) Directory.CreateDirectory(destFolder); string[] files = Directory.GetFiles(sourceFolder); string[] folders = Directory.GetDirectories(sourceFolder); foreach (string file in files) { string name = Path.GetFileName(file); string dest = Path.Combine(destFolder, name); File.Copy(file, dest); } fo..
// 현재 이 파일의 절대 경로$THIS_PATH = dirname( realpath( __FILE__ ) ); $src = 'C:\\APM_Setup\\htdoc'; //복사 대상 폴더$filepath = 'C:\\APM_Setup\\h'; $dst = 'D:\\htmlfile'; //복사가 될 폴더 if( !is_dir( $dst ) ) mkdir( $dst, 0777 );if( copy_dir( $src, $dst ) ){if( copy_dir( $filepath, $dst.'\\file' ) ){echo "OK";}} function del( $path ) {$d = @opendir( $path );while( $entry = @readdir( $d ) ) {if( $entry != "." && ..
Database 접속 속도 개선하기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적어도 두가지 서버를 운영하게 됩니다. 하나는 웹서버고, 다른 하나는 DB 서버 입니다.오늘은 이 두가지를 연동하다 보면 간혹 설정에 따라 속도에 딜레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서 그것을 개선하기 위해 개선 방법에 대해 글을 씁니다. 이 개선 방법이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조건이어야 합니다. 1. 웹서버와 DB서버가 같은 서버에 설치되어 있을 것 2. DB 기본 접속주소가 localhost 일 것 이렇게 두가지 조건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속도를 많이 개선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의 글들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관련글 : 개인서버 만들기 다섯번째 – 웹 플랫폼 설치 관리자 사용하기 | 개인 서버 ..
1. 개요 PHP 에서 Array 형 데이터를 JSON 포멧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json_encode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간단하게 데이터 변환이 가능하다. 단, 해당 함수는 UTF-8 형태의 String 값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iconv 를 사용하여 UTF-8 인코딩을 하여 사용해야만 한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한글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json_encode 함수가 한글을 유니코드 형태로 자동으로 변환해서 출력하게끔 되어 있다. 2. 해결 방안 PHP 5.4 버전 이상을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상수 변수 값을 옵션으로 줌으로써 간단하게 해결이 가능하다.?1json_encode($arrJson, JSON_UNESCAPED_UNICODE);그러나, 하위 버전 PHP를 사용하는 ..
그동안 잘 쓰던 소스였다 그런데 갑자기 파일이 깨진다 $DNTYP = "0"; $DNTYP_TF = ($DNTYP) ? "attachment" : "inline"; $fSAVED = iconv('utf-8', 'euc-kr', $fSAVED);$fREAL = iconv('utf-8', 'euc-kr', $fREAL); if (!is_file($fREAL)) { echo "";exit;} // Header("Content-type: file/unknown"); header("Content-Type: application/ms-x-download"); header("Content-Type: application/octet-stream"); header("Content-Transfer-Encoding: bin..
xml UI작성시 Grid 없이 테이블을 그리려고한다 R 이런 식으로 작성한다. - FlowDocumentScrollViewer Reader 대신 viewer(FlowDocumentScrollViewer ) 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Raader를 사용하면 하단에 아이콘이 나온다. - IsToolBarVisible="False" 하단의 아이콘을 없앤다 - VerticalScrollBarVisibility="Disabled" 스크롤을 없앤다 - 표 스타일을 정의한다. - 가운대정렬 / 글씨크기 8pt / 테이블 색은 검정 / 가로정렬이 없기 때문에 위 아래 패딩값을 줘서 가로 정렬을 한다. / 글꼴 Verdana * 표 높이는 LineHeight 속성을 사용할 수 있다. 어차피 가로 가운데 정렬때문에 패딩값이..
안드로이드 버젼이 올라가면서 어플 아이콘의 디자인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lagacy 와 adaptive 두가지 겸용으로 셋팅을 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lagacy only로 기존 처럼 셋팅하였으나 앱스토어에 올릴때 뭔가 안된다더라 그래서 adaptive도 포함하게 되었는데 검색해보면 알겠지만 원리가 다르다 두 겹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배경을 투명하게 하면 되겠거니 했는데 안된다. 한참 실갱이하다가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7722958/transparent-adaptive-icon-background 이 글을 보게 되었다 투명은 안되고, 투명값은 검정이다 그래서 이 글을 참고하여 이래저래 해도 안되서 결국 투명없는 아이콘으로 가기로 했다 기존 아이콘의 음영이나 ..
구글링해보면 대부분 assets 폴더에 html 파일을 넣는 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내가 하려는 것은 저장공간에 있는 html파일을 실행시키는 것 몇 년전에 하고 오랜만에 하려니 안되서 환경이 바뀌었나 했는데 권한을 빼먹었다 이 권한이 있어야 sdcard에 있는 html을 웹뷰에서 읽어 올 수 있다 "file:///storage/extSdCard/10.html";이런 식의 경로가 되겠다 if (!Environment.getExternalStorageState().equals(Environment.MEDIA_MOUNTED)){ Log.d(TAG, "No SDCARD"); } else { webComp.loadUrl("file://"+Environment.getExternalStorageDirectory()+..
구글링을 통해 여러 블로그들을 살펴본 결과 웹소켓 연결은 일정 시간이 흐르면 연결해제가 된다고 한다 그런데 해제된 객체를 가지고 send명령을 하니 익셉션이 발생되는게 아니라 그냥 씹혀버린다 소켓클라이언트 메모리해제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아서인듯 그래서 웹소켓 서버측에서 주기적으로 신호를 보내 연결을 유지하는 방법을 쓴다고 하는데.. 서버측은 내가 만든게 아니라.. 그래서 .isOpen() 이런 함수가 있나 봤는데 내가 사용중인 API는 if(mWebSocketClient.getReadyState()==WebSocket.READYSTATE.OPEN){ mWebSocketClient.send(json.toString()); }이런 식으로 getReadyState()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듯하다 read..